서버

>서버복구 > 서버

레이드 구성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어 경제적이며, 구성이 쉽습니다. 레이드 구성의 경우 수동적인 접근이 가능합니다. 만약 레이드 구성 디스크중 두개 이상이 장애가 발생하여 레이드 구성자체가 망가진 경우엔 사용자가 손쓸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습니다. 사용가능한 운영체제는 윈도우 계열, 리눅스, sun, hp, AIX 등이 있다.

Windows NT 4.0

예전 windows NT 4.0 의 경우 디스크 관리자를 통해 레이드 구성을 하게 됩니다. A 시스템에서 레이드를 사용하던 디스크를 B 시스템으로 옮기려면 디스크 관리자에서 정보 내보내기를 통해 플로피디스크로 레이드 정보를 내보내고 B 시스템에서는 레이드디스크에 대한 정보를 받아와야지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NT 4.0에서는 레이드에 대한 정보가 디스크에 남아 있지않고 레지스트리에 남게 됩니다. 따라서 레이드정보를 별도로 보관하지 않으면, 장애 발생시 복구가 어려워집니다.

Windows 2000

Windows 2000 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eritas 사의 Volume manager 를 채택하였고, 볼륨 메니저를 이용하여 레이드를 구성하고 또한 레이드 정보는 시스템이 아닌 디스크에 저장하여 장애 발생시 혹은 시스템을 교체하는 경우라도 쉽게 이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것을 동적디스크라고 부릅니다. 윈도우 2000부터는 기본디스크 / 동적디스크 두가지 모드를 두어 기존과 동일한 방식을 기본디스크라고 하고 동적디스크에는 레이드 이외에도 C, D 등의 드라이브 형태가 아닌 특정 폴더에 볼륨을 연결하는 마운트기능을 탑재하였습니다. 이방식은 유닉스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그대로 가지고 온 것입니다.

동적디스크

하드디스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윈도우2000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VERITAS사의 VERITAS VOLUME MANAGER를 채택하였습니다. 이를 윈도우에서는 LDM (LOGICAL DISK MANAGER)/ 리눅스에서는 LVM(LOGICAL VOLUME MANAER)라고 부릅니다.

  • - LDM을 이용하여 기존의 MBR (MASTER BOOT RECORD)에 GUID를 접목시킨 2TB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는 GPT(GUID PARTITION TABLE)를 만들게 되었습니다.각각의 디스크는 GUID(Global Unique Identifier)라는 32BYTE로 이뤄진 고유한 번호를 부여받고, 이 GUID는 디스크 뿐 아니라 MS 제품내에 모든 객체들을 식별하는데 사용합니다
  • - LDM은 BASIC DRIVE와 DYNAMIC DRIVE로 나눠지는데, GUID를 이용하는 DYNAMIC드라이브를 일반적으로 LDM 이라고하며, WINDOWS DYNAMIC DRIVE 는 META DATA AREA 와 GUID를 이용하여 디스크를 구성합니다.
  • - DYNAMIC DRIVE SYSTEM은 동적디스크의 시스템ID를 만나면 DISK의 ENDING POSITION의 META DATA AREA의 정보를 취득합니다. 이때 REGISTRY내의 디스크 구성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GUID정보가 RESISTRY ENTRY에 존재하면 정상 볼륨으로 보이지만, 없을 경우 외부디스크로 인식하게 됩니다.

리눅스

리눅스에서 레이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RAIDTOOL, LVM 2가지가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레이드 구성을 지원하는데 raidtool 이라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 현재는 이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판인 mdadm을 이용합니다. 지원하는 레이드 방식은 미러 / 스트라이프 / 레이드 5 / 선형 볼륨이며. 기본적으로 윈도우와 동일하게 지원합니다.

raidtool 이외에 윈도우의 동적디스크와 같이 veritas Volume manager을 응용한 LVM (Logical Volume Manager)이 있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디스크 묶기가 가능합니다. 또한, 단순 선형의 레이드부터 0, 1, 5가 가능합니다.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LVM은 solaris 10, hpux 11i 버전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LVM과 동일한 것이며, AIX 시스템에서도 사용합니다.

이러한 LVM은 단순히 레이드만 구축할 수 있는 것뿐 아니라, 사용중인 볼륨의 사이즈를 줄이거나 늘릴수 있어 확장이 용이합니다.

레이드 구성

Raid card 의 종류

  • ·서버 제조사별 : Dell, HP, IBM, SGI, Compaq
  • ·Card 제조사별 : Adaptac, LSI, IBM, Mylex
  • ·Raid의 Level : Level 0, 1, 3, 4, 5, 6, Mixed

복구를 의뢰하기 전 필수사항

  • ·구성 Drive의 수량, 레이드레벨을 파악합니다.
  • ·장애 히스토리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사후 조치상황을 정확하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

임베디드 OS를 기반으로 하며, 사용 OS는 윈도우 임베디드, 커스터마이징 된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며 적게는 1개에서 16개까지 하드디스크를 사용하여 만드는 시스템으로, 직접 접속이 아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접속이 가능합니다. CIFS, NFS 프로토콜을 사용한 네트워크 접속 또는 iSCSI를 이용한 스토리지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DAS
( Direct Attached Storage )

SCSI, e-SATA, USB, 1394 를 이용하여 서버에 직접 연결한 스토리지를 말합니다.가장 오래된 스토리지 방식이며, 내장 레이드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식과 외장 레이드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SAN

Fibre optic 을 이용한 스토리지 방식이며, 일반적인 네트워크 스토리지 방식과 유사합니다.서버와 스토리지와의 매핑을 이용한 다중서버와 다중 스토리지간의 구성에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가상화 솔루션에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가상화

가상화1990년도 후반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고성능의 서버를 낭비되는 자원없이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입니다.
· Vmware / Zen사의 Cytrix